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Docker의 -p 옵션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계신가요?? 아래와 같이 docker run -p8080:8081을 하게 된다면 어떤 일이 이루어지는지 알고 계신 만큼 속으로 답변해 보세요. 혹시 -p 옵셥이 port의 옵셥으로 알고 계시진 않나요?? 잘 알고 계시겠지만 사실, port가 아닌 Pulish의 약자이며 --publish의 약어로-p를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Docker Publish란 Docker 이미지를 실행시킬 때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옵션으로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docker run -p 8080:8081 exampleImage 해당 명령어를 세세하게 뜯어보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 중인 8081 포트와 호스트의 8080 포트를 연결해 주겠다는 의미입..
안녕하세요. 혹시 여러분들은 IPTABLES와 UFW의 차이 그리고 Docker의 IPTABLES 접근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오늘 해당 주제를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IPTABLES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네트워크 패킷 필터링 및 NAT를 수행하는 명령어 기반의 방화벽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보안을 강화하거나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중 Chain을 간단하게 알아보면 테이블 내에서 패킷 처리의 "흐름"을 정의합니다. 해당 부분을 기억하고 아래 글을 지속해서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여러분들이 우분투에서 자주 사용하는 UFW는 무엇일까요? 많은 분들이 IPTABLES을 모르고 UFW만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UFW는 리눅스..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왜 Reverse Proxy를 사용하시는지 알고 계신가요? 알고 계신 만큼 속으로 생각해 보시고 스크롤을 내려보세요. 여러분들도 잘 알고 있듯 단일 포트를 통해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Origin Server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Web Server를 통한 Reverse Proxy로 Origin Server에 접근이 가능한 것이죠 그럼 왜 사용하고 어떤 장점들을 가져갈 수 있을까요? 단일 포트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반드시 단일 포트로 제공되고 있는 Web Server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보안적으로 유리한 장점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또한, 부하를 여러 서버로 분산해주어 각 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
Docker Image 이미지 :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파일 쉽게 이해하기 : 도커 허브로 부터 내려 받는 파일 현재 컨터이너 상황을 스냅샷 찍어서 보관하기 위한 용도 정적 파일 docker pull mysql 과 같이 도커 허브로 부터 받은 파일이 될 수 있다. Dokcer Container 이미지를 실행한 파일 : 실행 상태와 중지 상태가 있음 메모리 할당 상태 컨테이너는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되며 호스트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실행 메모리를 할당 받아 실행 중이거나 중지되어 실행을 준비 중인 상태이다. Docker Container를 종료한다고 이미지가 삭제되지 않는다 이미지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현재 동작 중이거나 메모리 할당을 받고 있는 컨테이너를 삭제 한 뒤 이미지를 삭제해야한다. 현재 이미지가 메모..
도커의 작동방식 도커 VS VM(기존의 가상화 방식) 도커 이전에도 가상화 기술은 존재하였으며 도커 또한,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기술. 기존의 가상화 논리적으로 분할된 공간에서의 작업 서로의 VM은 서로에게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음기존의 가상화의 경우 새로운 운영체제 자체를 설치하여 사용. 아래의 사진과 같이 별도의 Guest Os가 존재함 Docker 도커 호스트 OS의 커널을 공유하는 가상화 방식으로 별도의 운영체제가 들어가는 방식이 아님 위의 이미지와 같이 도커 엔진 위에 다양한 도커 컨터이너를 띄어둠 커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호스트 시스템에서도 컨테이너 내부의 프로세스를 확인 할 수 있음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 재의 환경을 이미지로 만들고 컨네이너로 구동함으로써 언제나 같은 환경에서의 개발..